-
교통사고 어깨 부상, 장애 평가부터 보상금까지?카테고리 없음 2025. 7. 29. 16:19
교통사고 어깨 관절 부상, 장애 평가와 보상금 핵심 정리 - 윤태중 변호사
목차
어깨 관절의 이해와 교통사고 부상 유형
안녕하십니까, 교통사고전문변호사 윤태중입니다. 오늘은 교통사고 발생 시 자주 발생하는 부위 중 하나인 어깨 관절 부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러한 부상이 어떻게 장애로 이어지고 보상금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어깨 관절은 우리 몸에서 가장 움직임이 많은 관절 중 하나입니다. 상완골(위팔뼈)의 머리 부분과 견갑골(어깨뼈)의 관절와가 만나 이루어지는데, 상완골두가 관절와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탈구에 취약하며, 한 번 탈구되면 습관성 탈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통사고 시 어깨 주변에서 흔히 손상되는 주요 구조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대 손상: 오훼쇄골 인대, 견봉쇄골 인대 등 쇄골과 견갑골을 연결하는 인대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회전근개 손상: 어깨를 움직이는 중요한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등)과 그 힘줄로 이루어진 회전근개는 교통사고 시 파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골절: 상완골의 대결절, 소결절, 그리고 특히 사고 시 취약한 외과경 골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깨 부상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어깨 관절 부상은 단순한 통증을 넘어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후유장해 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관절 강직: 상완골두 주변 골절 등은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강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신경 손상: 어깨 주변에는 중요한 신경 다발(상완신경총)과 액와신경 등이 지나가므로, 부상 시 신경 손상으로 인한 마비나 감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상완골 간부 골절 시에는 요골 신경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교통사고 어깨 관절 부상, 장애 평가는 어떻게?
교통사고로 인한 어깨 관절 부상의 장애 평가는 주로 관절의 운동 범위 제한을 기준으로 합니다. 맥브라이드 장애 평가 방식에 따르면:
- 운동 제한: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외전 운동이 90도 이상 가능하다면 심한 운동 장애로 보지 않습니다.
- 장애 인정: 외전 운동이 90도 미만으로 제한될 경우, 관절 강직으로 인한 노동 능력 상실률을 18%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신경 손상 평가: 상완신경총 마비, 액와신경 손상, 요골 신경 손상 등 신경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장애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근전도 검사 등을 통해 신경 손상의 회복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영구적으로 회복 불능인 경우 영구 장애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 어깨 부상은 겉으로 보기에 심각하지 않아 보여도, 장기적으로 운동 제한이나 신경 손상 등 후유장해를 남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진단과 치료뿐만 아니라, 정확한 장애 평가를 통해 정당한 보상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교통사고 어깨 부상, 정당한 보상을 위한 전문가의 조력
교통사고로 인한 어깨 관절 부상은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와 다양한 손상 유형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 그리고 합리적인 장애 평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보험사는 피해자의 장애를 최소화하려 할 수 있으므로, 교통사고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저희 윤앤리 법률사무소는 어깨 관절 부상을 포함한 다양한 교통사고 상해에 대한 깊은 이해와 풍부한 소송 경험을 바탕으로, 피해자분들이 정당한 후유장해를 인정받고 합당한 보상금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교통사고 어깨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시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윤태중 변호사에게 상담을 요청하십시오. 여러분의 권리를 지켜드리겠습니다.
교통사고전문변호사 윤태중 드림